본문 바로가기
<
사회/정치

원내 교섭단체 위원, 그 역할과 활동 현장 속으로!

2024. 4. 18.
728x90

원내 교섭단체 위원
원내 교섭단체 위원

국회의 정책 입안 및 심의 과정에 참여하는 원내 교섭단체 위원! 그 역할, 임무, 활동 현장, 선정 방법, 보너스, 자격 요건 등을 궁금증 해소!

 

1. 원내 교섭단체 위원이란 누구일까?

원내 교섭단체 위원은 국회의원 소속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위임을 받아 국회 업무에 참여하는 국민입니다.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보좌하고, 정책 입안 및 심의 과정에 참여하며, 국민의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

 

2. 원내 교섭단체 위원의 역할과 임무:

  • 정책 입안 및 심의 참여: 정부 제안 법안, 국회의원 발의 법안, 청원 등의 심의에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합니다.
  • 국정감사 참여: 국정감사에서 국정운영에 대한 질문을 하고, 정부의 정책 및 사업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.
  • 예산 심의 참여: 예산 심의 과정에서 각 부처의 예산 편성 및 집행 상황을 검토하고, 예산 편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합니다.
  • 국회의원 보좌: 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보좌하고, 자료 조사, 연설문 작성, 국민과의 소통 등을 지원합니다.
  • 국민과의 소통: 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, 국회의 활동을 국민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

 

3. 원내 교섭단체 위원 활동 현장 속으로!

  • 정책 입안 회의 참여: 정책 입안 관련 회의에 참여하고, 의견을 제시하며, 협의를 통해 최종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여합니다.
  • 국정감사 질문 준비: 국정감사 질문을 준비하고, 자료를 조사하며, 국정감사에서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의견을 제시합니다.
  • 예산 심의 참여: 예산 심의 위원회에 참여하고, 각 부처의 예산 편성 및 집행 상황을 검토하며, 예산 편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합니다.
  • 국회의원 보좌 업무: 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일정 관리, 자료 조사, 연설문 작성, 국민과의 소통 등을 지원합니다.
  • 국민과의 소통 행사 참여: 국민과의 소통 행사에 참여하고,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, 국회의 활동을 국민에게 알립니다.

 

4. 원내 교섭단체 위원 선정 방법:

  • 각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규정에 따라 선정됩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공개 모집 또는 추천을 통해 선정됩니다.
  • 면접, 서류 심사 등을 통해 선발됩니다.

 

5. 원내 교섭단체 위원 보너스:

  • 월 급여가 지급됩니다.
  • 급여는 각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.
  • 보너스 지급 여부는 각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.

 

6. 원내 교섭단체 위원 자격 요건:

원내 교섭단체 위원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 

6.1. 필수 자격 요건:

  • 대한민국 국민: 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이어야 합니다.
  • 만 20세 이상: 만 20세 이상의 성인이어야 합니다.
  • 선거권 행사 자격: 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.
  • 공직 금지 대상이 아닌 사람: 공직에서 금지된 사람은 될 수 없습니다.

 

6.2. 추가 자격 요건:

  • 각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규정에 따라 추가적인 자격 요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이 선호됩니다.
  • 정치에 대한 관심과 이해: 정치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많고, 국정에 대한 의견을 가진 사람
  • 국회 운영 및 의정활동에 대한 이해: 국회 운영 및 의정활동에 대한 이해가 많고,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
  • 뛰어난 의사소통 능력: 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
  • 팀워크 능력: 팀원들과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
  • 책임감: 책임감이 강하고, 맡은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람

 

6.3. 원내 교섭단체 위원이 되는 데 도움이 되는 경험:

  • 정치 단체 활동 경험: 정당 청년위원회, 대학생회, 시민단체 등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.
  • 국회 관련 업무 경험: 국회의원 보좌관, 국회 연구기관 연구원 등 국회 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.
  • 언론 매체 활동 경험: 언론 매체에서 기자, 편집자 등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.
  • 법률 관련 학력 또는 경험: 법률 관련 학력 또는 경험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.

 

6.4. 원내 교섭단체 위원이 되는 방법:

  • 각 정당 또는 교섭단체의 홈페이지에서 공개 모집 공지를 확인합니다.
  • 공개 모집 공지에 따라 서류를 제출하고, 면접을 볼 수 있습니다.
  • 추천을 통해 선정될 수도 있습니다.

 

6.5. 원내 교섭단체 위원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:

  •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: 국회의 정책 입안 및 심의 과정에 참여하고, 국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정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: 정치 현장에서 직접 활동하면서 정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: 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만나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: 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, 새로운 것을 배우며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 

원내 교섭단체 위원은 국민의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하고, 국정에 참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 정치에 대한 열정과 헌신이 있다면, 원내 교섭단체 위원이 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!